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인간 발달의 본질
    발달심리학/인간발달의 본질 2023. 4. 7. 12:22
    반응형

    인간발달의 본질은 무엇인가? 먼저 관련 개념 정리부터 해 보자.  인간의 발달과정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아동이 양적, 질적으로 변화하는 과정을 말한다. 인간발달은 성장, 성숙, 학습을 말하는데 이것들이 일생에 걸쳐 변화하는 과정을  인간발달이라 한다. 인간발달의 영역은 생물학적 발달, 인지적 발달, 사회 정서적 발달로 크게 나눌 수 있다.

     

     

     

    1. 전생애 인간발달의 개념

     

    보통 유아기-아동 전기-아동후기-청년기 - 성년과 중년기-노년기 순으로 생애를 구분지었을 때 인생의 모든 단계는 비교우위가 없을 정도로 단계마다 중요하다.

     

    1) 다중 방향성

    인간발달이 성년기까지는 성장하고 중년기에는 안정적이다가 노년기에 감소한다는 전통적 접근법에 동의하지 않고 인간발달의 모든 단계에서 성장과 감소가 공존한다는 것이다. 연령이 같다하더라도 개인차가 있으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개인차는 더 벌어진다.(Morse,1993)

     

    2) 유연성

    질병, 영양실조와 같은 결핍상태에 의해 아동의 발달이 손상을 입는다 해도 그 후 환경 개선으로 아동발달이 최적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는 주장이 있는데 이와 같은유연성은 성인기에도 계속된다. 적응능력은 굳어져 있는 것이 아니라 훈련, 연습을통해서 어느 정도 회복할 수 있다. 

     

     

    3) 역사적`사회적 영향

    인간발달과정에서 인간은 역사적`사회적 환경에 영향을 주고 받는다. 환경에 반응하고 상호작용하면서 자신이 속해 있는 사회적 변화와 역사적 사건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가족구조의 변화, 남`여 여성의 역할 변화, 생명공학의 혁신 등 이 전 시대와 크게 다를 것이다. 또한 현 시대와 다음 시대가 다를 것이고  세기가 거듭될수록 더욱 더 변화의 양상은 커갈 것이다.

     

    4) 다문학적 접근

    인간발달에 대해 이해의 폭을 넓히기 위해서는 다야안 분야의 전문 학자들과의 다학문적 접근이 있어야 한다. 예를 들자면 인류학, 생물학, 역사학, 가정학, 심리학, 사회학에서의 인간발달에 대한 관심사와 접근양상이 다를 것이다. 이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인간발달에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2. 인간발달의 단계

    인간발달의 단계와 연령은 다음의 구분을 따른다.(papalia,D.E,& Olds,S.W(1998).Humam development(7th ed.).New York:McGraw-Hill.)

     

    1) 태내기(수태~ 출생)

    기본적인 신체구조와 기관이 형성된다.

    신체의 성장이 일생 중 가장 빠는 속도로 이루어진다.

    태내환경으로부터 크게 영향을 받는다.

     

    2) 영아기( 0~2세)

    신상아는 의존적이기는 하지만 나름대로 다양한 능력을 가지고 있다.

    출생 시에 모든 감각기관이 작용한다.

    신체의 성장과 발달의 속도가 매우 빠르다.

    학습능력과 기억력이 신생아기에도 형성된다.

    생후 2년째가 되면 자아에 눈뜨기 시작한다.

    첫독 무력에 부모에 대한 애착이 형성된다.

    다른 아동에 대한 관심이 증가한다.

     

    3) 유아기 (2~ 6세)

    운동기능과 체력이 신장된다.

    자기중심적이다.

    인지적 미성숙으로 인해 세상을 보는눈이 비논리적이다.

    놀이, 창의력, 상상력이 풍부하다.

    자율성 자기통제력이 증가한다.

    친구의 중요성이 증가하지만 가족이 여전히 생활의 중심이 된다.

     

    4) 아동기( 6~11세)

    신체의 성장이 느려진다.

    체력과 운동기능이 더욱더 신장된다.

    유아기의 자기중심성이 사라진다.

    기억력과 언어기능이 증가한다.

    자아개념이 발달한다.

    친구가 생활의 중심이 된다.

     

    5) 청년기 ( 11~ 20세)

    산장과 체중이 급격히 성장하고 체형이 변화한다.

    성적 성숙이 이루어진다.

    추상적 사고가 가능하다.

    청년기의 자기중심성이 나타난다.

    자아정체감의 확립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된다.

    또래집단이 형성되고 그 영향력이 커진다.

     

    6) 성년기 ( 20~40세)

    신체적 건강이 최고조에 달하다가 서서히 감퇴하기 시작한다.

    지적 능력이 더 복잡해진다.

    친밀한 관계가 이루어진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결혼하여 부모가 된다.

    직업을 갖게 된다.

    자아정체감이 계속해서 발달한다.

     

     

    7) 중년기 ( 40~ 65세)

    신체적 건강과 정력이 감퇴하기 시작한다.

    여성들은 폐경을 경험한다.

    지혜와 실제적 문제해결 능력은 증가하지만 새로운 것에 대한 문제 해결 능력은 저하한다.

    자녀를 돌보고 부모를 봉양하는 이중의 책임감으로 인해 스트레스가 발생한다.

    자녀들의  집을 떠나고 빈 둥지 증후군이 나타난다.

    삶의 의미를 찾는것이 매우 중요한 일로 생각된다.

    중년기의 위기가 닥쳐 올 수 있다.

     

    8) 노년기 ( 65세 이후)

     

    신체적 능력이 다소 감퇴하지만 대부분의 노인들은 건강하고 여전히 활동적이다.

    반응시간이 더디어져 여러가지 기능에 영향을 미친다.

    지적 능력과 기억력이 감퇴한다.

    은퇴로 인해 수입이 감소하지만 여가시간은 많아진다.

    다가오는 죽음에 대비하여 삶이 목적을 찾을 필요가 있다.

     

    3. 인간발달의 쟁점

     

    1) 유전과 환경

    인간발달이 유전에 의한 것이냐, 환경에 의한 것이냐를 두고 토론과 연구가 되어왔지만 인간발달은 유전과 환경이 상호작용의 결과로 본다. 이에 따라 유전적 잠재력이 충분히 발휘될 수 있도록 최적의 환경을 조성하여 조건과 상황을 제공하여야 한다. 

     

    2) 성숙과 학습

    성숙: 유전적 요인에 의한 생물학적 변화 과정을 말한다.

    학습: 외국어 습득이나 운전기술 습득과 같이 직`간접 경험을 통한 얻어진 결과물이다.

     

    3) 연속성과 불연속성

    유전과 환경이라는 열띤 토론과 같이 연속성과 불연속성 또한 양극단의 택일의 문제가 가니다. 장기적으로 연속적 변화와 불연속적 변화를 관찰해 본다면 유전과 환경이 상호작을 통해 인간발달을 이루는 것처럼 두 가지 형태가 결합한 것일 수 있다. 

     

     

    4) 결정적 시기

    인간발달은 계속적으로 변화하지만 특정 시기에는 매우 빠르게 일어나고 다른 시기에는 느리게 일어나는 것도 있다고 본다. 유아기와 청년기의 신체변화는 다른 시기보다는 급변하는 양상을 보이고 심리적 변화도 함께 한다. 이타드 박사와 빅터의 경우 언어발달에 있어서 결정적 시기가 있음을 증명하였다. 정신지체아가 아닌 12세의 나이의 빅터는  언어를 습득하지 못하였다. 이것은 Lennberg(1967)가 인간의 언어는 2세에서부터 사춘기 시기 동안 발달한다고 하였는데 이 결정적 시기에 적절히 훈련 받지 못하여 빅터는 언어를 습득하지 못한 것이 된다. 이러한 결정적 시기에 대한 또다른 예는 Jone Money의 양성체에 대한 연구이다. 그에 따르면 생후 18개월까지는 심리적 성역할을 부여 받 는것에 융통성이 있어서 생물학적인 성역할을 반대성의 사회적 성역할로 획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처럼 특정발달 영역에서는 결정적 시기가 있다.

     

     

    5) 초기경험과 후기경험의 중요성

    초기 경험 중요성 강조: 프로이드 이론을 토대로 서구 문화에서 지지하는 경향이 있다.

    후기 경험 중요성 강조: 6~7세 이후에 경험이 인간발달의 중요한 측면이라고 믿는 아시아권 문화가 있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